스킵네비게이션

사이트맵

공공조달관리사 소개

'공공조달관리사' 국가기술자격 종목 신설 안내

2025년 3월 4일 정부의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개정안 심의·의결에 따라, 공공조달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공공조달관리사' 국가기술자격 종목이 신설되었습니다.
조달 시장의 성장과 함께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커져 신설되었으며, 앞으로 공공조달 컨설팅이나 조달 물품 검사·검수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공공조달관리사'에 주목해야하는 이유

01 전문성 강화와 직업 안정성

공공조달 분야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투명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합니다. '공공조달관리사' 자격증은 이러한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공인받는 역할을 하며, 조달 시장의 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어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으로, 자격 취득 시 직업의 안전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02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 가능성

'공공조달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면 조달청이나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조달 컨설팅 기업, 관련 물품을 납품하는 기업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조달 전반에 걸친 전문 지식을 갖추게 되므로, 기업의 성장을 돕는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공공조달 규모 현황

※ 출처 : 조달사업 통계(조달청 누리집)
구분 및 연도 '14년 '16년 '18년 '20년 '22년 '23년
총 계약규모(조원)

111.5

116.9

141.3

175.8

196.0

208.5

조달기업(개)

293,418

348,069

400,915

471,000

536,305

572,118

발주기관(개)

48,681

52,223

55,040

60,964

66,271

69,106

※ 출처 : 조달사업 통계(조달청 누리집)

'공공조달관리사' 자격증, 공공조달학과에서 준비해야하는 이유

우리 공공조달학과는 '공공조달관리사' 자격증 취득을 넘어, 공공조달 분야의 최고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조달청과 MOU를 체결하여 현직 전문가들의 실무 중심 강의를 제공하여, 공공조달역량개발원과의 연계로 현장형 교육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01 공공조달 실무를 지배하는 5가지 핵심 전략

  • 진입 전략 : 다수공급자계약부터 벤처나라, 혁신제품 등록까지 조달 시장 진입의 모든 과정을 안내합니다.
  • 수입 전략 : 조달 시장의 이익 구조를 분석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을 배웁니다.
  • 계약 안전 : 불공정 행위를 예방하고, 문제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 인증 취득 : KS, 성능인증, 특허 등 각종 조달 인증을 컨설팅 없이 직접 기획하고 취득하는 실무 역량을 키웁니다.
  • 조달 행정 : 공공계약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기관 조달 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합니다.

02 재직자도 가능한 유연한 교육 환경

우리 공공조달학과의 강의는 온라인으로도 제공되어 재직자도 현업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주말집중교육이나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를 통해 최고의 실습 환경을 제공하며, 성인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장학금 혜택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자격 시험 주요 정보

'공공조달관리사' 국가기술자격 종목 신설 안내
구 분 내 용 비 고
자격 신설 배경

공공조달 규모 및 시장 확대에 따른 전문 인력 필요성 증대

자격 신설 일자

2024년 3월 4일(화) 국무회의 심의·의결

자격 등급

단일 등급

검정 기준

1. 공공조달에 대한 전문 지식 및 분석 능력
2. 공공조달 전(全) 과정 절차 수행 및 관리 능력

시험 과목

필기 : 공공조달 법제 이해, 공공조달 계획 수립 및 분석, 공공계약 관리
실기 : 공공조달 관리 실무

시행 예정 시기

2026년

2025년 하반기 출제 기준 마련 예정